Track Stubs (배선 stubs) 짧게 배선하기
Daisy chain(직렬연결) 배선의 지정된 고속신호의 stub는 Ringing에 의한 방사노이즈 증가등의 악영향이 있습니다. 아래 그림을 보면 이해가 가실겁니다.

Track stub 체크 원리
- 대상은 주기와 상승시간을 갖는 배선이고, IC핀의 Source와 Load간의 배선 길이를 체크해야 합니다
- 위 그림을 보면 어느 정도 이해가 갈 겁니다.
- Propagation delay(전반 지연)을 체크합니다. 여기서 propagation(전반)의 의미는 전파의 파동이 넓어지거나 퍼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 propagation delay 시간은 배선의 굵기나 층의 구조등으로 값이 변화합니다.
Track stub 대책
- 위에서 설명한 체크 원리는 시뮬레이션 툴에서 체크하는 내용입니다. 대상 net의 최대 stub 길이의 지연시간을 자동으로 계산해 줍니다. 정확한 속성 입력만으로 자동계산이 되어서 나옵니다.
- 저희는 비싼 시뮬레이션을 돌릴 수가 없기 때문에 위의 내용을 이해하고 설계하면 됩니다.
- 대책은 간단합니다. 다음과 같이 2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 최대한 짧게 stub를 배선해 줍니다.
- 종단저항을 실장해 줍니다. 여기서 말하는 종단저항이란 선로 전체에 일정 전류가 순환하도록 함으로써 선로 상의 임피던스를 조정하여 반사현상을 줄이고 노이즈에 강하도록 설치하는 저항이 종단저항입니다. 위의 그림에도 종단저항이 달려 있는 것이 보일겁니다. 선로의 끝단에 저항을 연결하고 저항값은 선로의 저항값을 측정해서 달기도 하고 통신방식에 따라 정해지기도 합니다.
- 적다 보니 너무 어려운 표현만 썼군요. 죄송합니다. 다시 정리하면 위의 그림같은 회로 구성이 필요하다면 stub 배선을 최대한 짧게 설계하면 된다는 얘기를 너무 길게 설명했네요. 그렇습니다. stub배선을 할 수 있는 만큼 짧게 설계하면 됩니다.